한 코로나 확진자가 50일 동안의 투병생활과 완치된 후에도 회복되지 않는 일상을 기록한 책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정과 불공정이 자주 문제가 되는 이유를 분석한 책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새로 나온 책, 박석원 앵커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■ 코로나에 걸려버렸다 / 김지호 / 더난콘텐츠 <br /> <br />코로나 확진자가 되는 순간, 낙인이 찍혔다. <br /> <br />50일 동안 코로나와 싸운 자신을 힘들 게 한 건 바이러스 뿐 아니라, 주변의 시선이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인 확진자를 부주의하거나 이기적인 가해자로 보는 시각이 또 다른 차별과 혐오를 낳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완치 후에도 주변에 자신의 억울함을 설명하고 안심시켜야 하는 확진자에게, '일상의 회복'이란 머나먼 이야기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 회사까지 그만둔 저자는 처절한 투병기를 통해 코로나 시대에 우리 사회가 극복해야 할 또 하나의 화두를 던져 줍니다. <br /> <br />■ 토크빌과 평등의 역설 / 연구모임 사회비판과대안 / 사월의 책 <br /> <br />정치적인 평등이 이뤄졌다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정을 둘러싼 싸움이 잦은 이유는 뭘까요? <br /> <br />19세기 프랑스의 사상가 토크빌은 민주적 평등사회의 어두운 면모인 '평등의 덫'을 경고합니다. <br /> <br />다수 여론이 소수의 이성적 판단을 억누르거나, 높은 위치의 사람을 끌어내리려는 왜곡된 평등의 집착 등, <br /> <br />평등을 지향하는 것이 오히려 혐오와 우울을 불러올 수 있다는 역설은 현재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■ 숫자는 거짓말을 한다 / 알베르토 카이로 / 웅진지식하우스 <br /> <br />객관성과 신뢰도의 상징이라는 숫자와 도표의 허상을 날카롭게 꼬집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와 주가 변동, 기후변화, 코로나19까지 빅데이터 시대에 제시되는 수많은 숫자와 그래프들이 어떻게 데이터를 왜곡해서 우리를 속이는지 알려줍니다. <br /> <br />잘못된 도표를 찾아내는 5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가짜뉴스에 속지 않기 위해선 숫자와 도표의 정확한 의미를 꿰뚫는 독해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■ 일하는 사람의 생각 / 박웅현·오영식 / 세미콜론 <br /> <br />넥타이와 청바지는 평등하다. <br /> <br />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. <br /> <br />오래 기억되는 카피를 지은 광고인 박웅현이 디자이너 오영식과 '창작과 창의성'을 이야기합니다. <br /> <br />창의성의 초고수들은 창작의 현업에서 30년 넘게 고민하고 극복한 경험들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는 가치, 일의 본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0102502260236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